loading

공지사항

ⓒ 2015 유니세프 깔깔 바깥놀이 사진 공모전 우수작 / '앗차가워' 정백호

아동의 의견, 이렇게 들으세요!

작성일2017.08.29

유엔아동권리협약에 따라 아동은 자신의 능력에 맞게 적절한 사회활동에 참여할 기회를 갖고, 자신의 생활에 영향을 주는 일에 대해 의견을 말할 수 있어야 하며, 그 의견을 존중 받아야 합니다. 유엔아동권리협약 12조 ‘의견 존중’은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첫 번째 원칙이자, 가장 기본이 되는 아동의 권리입니다.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를 조성하는 전국의 44개 지자체에서는 모두 4,730명이 아동참여기구를 통해 자신과 관련된 지역사회 일에 앞장서 참여하고, 당당히 의견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형식적으로 아동의 의견을 듣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인격과 권리를 가진 협력자이자 동등한 시민으로서 아동의 의견을 존중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래 11가지 매뉴얼을 확인해보세요.

1. 어떤 일이든, 아이들이 이해할 수 있는 논리로 진행하세요.

2. 지나친 욕심은 버리고, 각 단계가 잘 통합된 아동 참여 체계를 구축하세요. 아이들이 새로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동기 부여하는 것은 불가능한 목표가 아닌 작은 성취입니다.

3. 가능할 경우, 적절한 장소에서 아동의 가족이나 공동체 구성원도 함께 참여시켜 보세요.

4. 아이들이 익숙해하고 이해하기 쉬운 방법으로 접근하세요. 아이들의 놀이와 게임 속에서 그런 방법을 찾을 수도 있습니다. 아동 곁에서 일하는 학교나 스포츠, 여가 시설 직원들의 지식과 경험에 기대보세요.

5. 아동에게 거짓이 없고 명확한 정보를 제공하세요. 공동체를 대상으로 한 모든 정보는 아동도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작성되어야 합니다. 가장 어린 연령대의 아이들이 작성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입니다.



6. 공동체 구성원 모두에게 아동 참여 프로젝트를 널리 알리세요. 가능한 미디어, 시청 홍보실, 인터넷을 통해 프로젝트의 목적, 내용, 방법, 결과를 홍보하세요. 모든 정보는 분명하고 정확해야 하며 ‘아동의 참여’를 특히 강조해서, 지역사회가 아동의 참여를 중요시한다는 것을 주민들이 알도록 해야 합니다. 아이들과 직접 만나 아이들의 제안에 대해 논의해볼 시장이나 의회의 의지, 그리고 가능성에 대해서도 잘 생각해봐야 합니다.

7. 가장 어린 아이들도 공동체 구성원에게 참여 프로젝트를 알리는 홍보 채널과 내용을 접하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8. 약속한 것을 지키고 공약을 이행하세요. 아이들이 원하는 건 뭐든 다 들어주라는 말이 아닙니다. 아이들의 제안과 요구 내용에 대해 계속해서 알려주고, 피드백 주고, 답변하라는 말입니다.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수용될 수 없었던 제안과 요구 내용에 대한 피드백도 전해주세요.



9. 이전의 분석 자료도 모두 포함해서, 아동의 제안을 면밀하고 정확하게 평가하세요. 가능하면 제안이 낳는 결과와 제안 시행 단계를 평가하기 위한 요소까지 함께 계획하시기 바랍니다.

10. 아동, 어른, 지자체, 다른 기관들과 배울 점을 공유하세요. 비슷한 목적의 프로젝트가 있어도, 보통 프로젝트 진행자는 비슷한 분야에서 일하는 사람과 정보와 경험을 공유할 생각을 미처 하지 못하거든요.

11. 배움에는 끝이 없습니다. 이전에 시행했던 참여 프로젝트나 비슷한 변수와 목적을 가진 과거의 사업을 공부하고, 활용하세요. 스스로의 과거를 돌이켜보고, 과거로부터 배울 점을 찾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는 가장 작은 목소리, 아동의 목소리가 들리고 보이는 도시입니다. 아동의 작은 목소리에도 귀 기울이는 도시는 아동의 모든 권리를 소중히 여기고, 지켜주는 도시입니다. 우리 마을 모든 아이들의 목소리가 선명하게 들릴 때까지, 더 작은 소리에도 귀 기울여 주세요.                                     </div>
                                </div>
                            </div>
                            <div class=목록으로

맨위로가기